2013년 9월 5일 목요일

reversing history - treasury yield




구글독스에 재무성 데이타(연준 데이타보다 빨리 업데이트 된다)를 입력해서 market data에 링크해놓은 그림이다.

2년 이상 1년물, 2년물 사이의 괴리가 유지되고 있다.
방향이 다르든 속도가 다르든 매우 다르다는 점은 변함이 없다.
6개월 이하는 단기 금리로 보면 되고, 2년 이상은 중기로 보면 되는데 1년은 애매하지만 일단 단기로 분류하는 편이 적당하다.



로그를 취하지 않은 일반적인 금리 그래프에서는 저런 특이사항을 관찰하기 어렵다.
30년부터 2년까지 비슷하게 움직인다는 정도까지만 확인할 수 있다.

금리가 상승한다고 해도 속도에는 차이가 있다.
장기금리는 상대적으로 과거의 금리수준을 많이 회복했다.
금리 간의 회복 속도 차이는 당연히 궁금한 일이고, 또 중요한 일이다.

위의 1, 2년물 괴리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도 중요한 문제로 본다.
그런데 이러한 문제에 관심을 보이는 사람이 별로 없다.
나만 빼고 남들은 이해하고 있을까?




길게 보면 단기금리의 하락도 눈에 띄지만 이 괴리도 더욱 두드러진다.




yield curve를 금리의 변곡점을 중심으로 모아서 변화를 관찰했다.

2012년 7월까지 금리의 하락이 진행되었다.
단기금리의 하락이 중기, 장기금리의 하락보다 크다.
또한 단기금리이 하락이 중기, 장기금리보다 먼저 진행되었다.

이것은 기준금리의 인하와 QE, OT의 효과가 나타나는 과정을 보여준다.
또한 장기물에서는 연준의 정책이 덜 효과적이기 때문에 금리를 낮추기 위해서는 강력한 정책과 조작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저점은 12년 7월이지만, 본격적인 상승은 13년 5월에 시작되었다.
최근 5월부터 시작된 금리의 상승 속도가 특히 장기물에서 둔화되고 있다.
11년 7월과 13년 8월말의 커브를 비교해보면 상대적으로 3, 5년의 금리상승이 빨랐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요약하면 눌려있던 커브의 중간이 상대적으로 빨리 회복하고 있다.





시계열로 보는 것보다 일드 커브로 표시하면 금리와 관련된 힘을 표시하는 것이 쉽다.
다만 분홍색으로 표시한 1,2년 금리 변화의 괴리는 알아보기 더 힘들다.

파랑: 연준의 기준금리
군청: QE, OT
주황: 모기지, 음의 볼록...
빨강: 위험회피

2011년 8월에 발생한 유럽의 위기, 미국의 신용등급 하향 등과 관련된 위험회피 현상은 주로 단기에만 효과가 나타난다.

테이퍼링과 관련한 혼란이 최근 중기금리를 올리고 단기금리를 낮춘 것이 명확히 보인다.
중기금리상승이 테이퍼링을 반영한다면, 단기금리하락은 관련된 불확실성을 반영한다고 나누어 볼 수도 있다.
그렇다면 2012년 7월이 장단기금리차가 가장 적었을 때가 QE의 전성기였다고 볼 수 있다.

양적완화의 축소를 사람들이 받아들이고 나면 10년, 30년 보다 그 이하 금리의 상승이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더 높아보인다.


최근에 진행된 것과 비슷하게 금리하락의 역순으로 금리상승이 진행된다면 앞으로 아래와 같은 일이 벌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비가역적인 현상은 필름을 반대로 돌리면 어색하다.
그런데 위 그림은 전혀 어색하지 않다.

신기한 일이다.
역사가 순환하는 줄 알았더니 꺼꾸로 가고 있는 것인가?
혹시 둘 다인지도 모른다.








댓글 4개:

  1. 형님 말대로.. 50년 과 지금은 비슷한듯하지만 또 틀린면도 많네요..

    단기 금리는.. 2004년 때를 봐도 금리 올릴때까지는 거의 안올라요..

    답글삭제
    답글
    1. 단기금리만 상대적으로 낮게 오래가면 세상이 어떨 것인지는 별로 고려하지 않았는데,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네요. 뒤집어보니 금리는 저렇게 된다는 얘기인데, 다른 것들에 대해서는 더 생각해 봐야겠어요.

      삭제
  2. 귀한글 감사합니다.
    공짜로 보기가 죄송하네요

    답글삭제
  3. 무슨 말씀을요. 난삽해서 죄송하네요.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