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월 14일 화요일

Bank of China, 위안화예금



Shibor, 위안화 예금

중국에서 유동성 위기의 조짐이 보이는 동안 한국에서는 위안화 예금이 급증하고 있었다.



위안화 상품투자, 환헤지의 마법

'불티나게 팔리더니'…위안화예금 동났다

금감원 "위안화예금 자제해 달라"…외은·증권에 창구지도

위안화예금 급증, 누구의 작품인가

더벨의 기사는 최근의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다.



[파이낸셜 포커스] 계속되는 위안화 예금급증, 그 이유는

"한은 관계자는 "위안화 예금 증가는 홍콩 역외 위안화 선물환율이 낮은 수준을 지속적으로 보임에 따라 원·위안화 간 차익거래 유인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며 "특히 증권사들이 홍콩 역외 시장에서 위안화를 국내로 들여와 중국계 외국은행지점에 예치했다"고 설명했다."

위 기사의 한은 관계자 말에 따르면 국내의 위안화 예금 증가가 실제로 기관 투자자들의 위안화상품 투자를 위해, 증권사들이 홍콩의 위안화(CNH)를 들여오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작년 총액으로 10조가 넘는 위안화 예금 중 7조 이상이 순전히 투자 목적에 의한 위안 매수로 인한 것이다. 망하기 전의 브라질 채권규모는 이미 넘어섰다.

이 거래는 달러매수, 위안매수, 중국은행(Bank of China) 한국지점의 예금 가입과 동시에 달러헤지, 위안헤지가 진행된다.

만에 하나 문제가 발생한다면?

달러매수/헤지에서는 상상하기 어렵다.
위안매수/헤지에서는 상상할 수는 있다. 그러나 가능성은 낮다.

그럼 예금 자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중국은행은 이름은 중앙은행(중국의 중앙은행은 인민은행, PBOC)처럼 보여도 그저 시장에 상장된 많은 중국의 은행 중 하나일뿐이다.



Bank of China Limited (HKG:3988)

시가총액으로 중국 공상은행, 중국 건설은행, 중국 농업은행 다음이다.
이 은행이 한국 금융의 역사에 이름을 남길 가능성이 있는지는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당장이야 중국에 문제가 생겨도 유럽의 부실국가들처럼 hair cut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나 예금 만기에 더 높은 확정 금리상품이 없어 몇번씩 재가입하면서 시간이 흐르다보면 동양사태처럼 파국을 피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아직 기관투자자들만 주로 가입하는 것은 다행이지만, 인기가 있다니 개인 큰손 투자자들에게도 문호를 넓혀줄 가능성도 있다.




헤지를 안 하던 사람들이 헤지를 시작했다는 것은 돈을 벌고는 싶은데 겁을 내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 헤지를 가능하게 한 것은 중국정부든 시장이든 위안화 선물의 비정상적 강세를 유지시키는 자들이다.
그 덕분에 헤지로 추가수익을 1%까지 올릴수 있어서 중국으로 돈이 흘러가고 있는 것이다.
그 덕분에 중국 금융시장이 덜컹거리면서도 자빠지지 않는 것이다.

금리는 이미 올라가고 있다.
만약 환율이 방향을 바꾸면 익히 보던 많은 신흥국과 비슷해진다.
믿기 힘든 중국경제지표는 무시하고 환율만 봐도 충분하지 않을까 싶다.

위안화가 꺾이면 한국에는 무슨 일이 생길까?
원화강세가 꺾일까?
그러면 위안화때문이라고 할 수 있나?

보자.




----------

“삼성생명, 중국은행과 손잡았다”








댓글 2개:

  1. 중국은행과 관련해서는, 대체로 예금이라고 하니, 예보 도입이 중요한 이슈 중 하나가 아닐까요? 연간 회의 결과를 두고 곧 도입한다는 분석도 있더군요.

    위안화는.. 고민되는데.. 방향성이 있기는 하지만, 아직은 고시 환율에 대한 밴드 내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점은 어떻게 영향을 줄지 모르겠네요.


    결론적으로 잘 모르겠다는게 이 댓글의 중심내용이네요 ^^;;;;

    답글삭제
    답글
    1. 저도 몰라요. 어디에서 터져야 그 때가서 알 수 있겠지요. 그냥 차트 2개 보면 될 것 같네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