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8월 15일 월요일

원달러, 환헤지 프리미엄, 해외투자 20160815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8/super-won-again.html



최근의 원화강세의 원인에 대해 이런 얘기들이 많은 듯하다.
원화가 위험자산의 대표격이라서 높아진 전세계 유동성의 혜택을 보고 있다고도 한다.
반대로 국가신용등급 상승 등에 반영된 것처럼 한국경제, 원화의 안정성이 높아져서 강세이고, 그것이 다른 신흥국 통화들보다 더 강세를 보이는 이유라고도 한다.

금융시장에서 안전, 위험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안전자산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금, 달러, 엔화, 미국채에 대한 평가가 전문가들마다 얼마나 다른지 비교해보면 명확하다.
낮은 변동성,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에 대한 헤지같은 것들이 중요한 요인이지만 장소와 시기와 기간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보게 된다.
채권의 미래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blog-post_12.html
한국사람이 미국채에 투자하면 지난 30년 동안 적어도 2번 이상 큰 위험을 피하면서 일생 일대의 기회를 잡을 수 있었다.
구관이 명관이고, 중간만 가면 최선이라는 관점에서 저런 것들이 향후에도 안전자산일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나는 장기간에 걸쳐 최고의 위험자산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최근 원화의 강세가 진행중이지만, 1100원 정도의 가격이라면 달러를 저점매수할 기회로 보는 시각들이 있다.
달러 리보금리나 ted스프레드의 상승이 달러 경색을 반영하고, 올 해 안에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면 이런 상황이 더 심화될 수 있다고도 한다.

http://news1.kr/articles/?2745614
http://www.businessinsider.com/finance-crisis-warnings-sign-flashing-again-libor-2016-8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5/libor-federal-funds-rate-treasury.html


기왕에 진행된 해외투자에 대한 헤지를 유지할지 말지에 대한 문제라면 헤지비용이 중요할 것이고 헤지비용이 증가하고 있다면 고려할 사항이 많을 것이다. 헤지를 통해 얻는 이익이 감소하고 있어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FX 스와프 1년물도 마이너스 임박…여파는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3546

달러에 대한 헤지비용은 이미 많이 증가했다.

j-reits 환헤지 프리미엄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4/j-reits.html

3월에 엔화에 대한 환헤지 프리미엄 덕분에 펀드수익률이 방어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것을 노리고 제로금리의 일본 국채에 투자하는 선수들이 존재한다는 것도 알았다.

은행 딜링룸, 日마이너스 금리 시대 투자법 '열공'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8793

그러나 몇개월 사이 환헤지 프리미엄이 감소하면서 일본 국채, 프랑스 국채에 대한 투자도 메리트가 거의 없다고 한다.

해외국채 판매 규제완화, 무용지물되나
http://www.thebell.co.kr/front/free/contents/news/article_view.asp?key=201607250100045580002748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 발행 국채의 쿠폰금리가 낮아야 하고 환헤지 프리미엄을 얻을 수 있는 스왑 시장 여건이 형성돼 있어야 한다. 글로벌 저금리 시대에 A 등급 이상 국가가 발행하는 국채의 금리가 워낙 낮아(일부는 쿠폰금리 제로) 환헤지와 세제 혜택을 등에 업지 않고서는 해당 국채 투자의 메리트가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만약 선진국들의 금리가 더 낮아지기 어렵고, 한국의 금리는 한 두번 더 낮아질 수 있다면 환헤지 프리미엄이 어떻게 변할까?

현재 우리나라 금리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만 향후 한국은행의 추가적인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어 금리 격차가 더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금리격차가 환헤지 프리미엄을 결정하는 주된 변수가 되기 때문에 해외 국채 투자 수익률은 더 떨어지게 된다.

같은 기사의 환헤지 프리미엄에 대한 언급이다.
향후 해외투자시 환헤지 비용이 더 커진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것이 달러 경색과 관련이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미국의 금리인상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해외투자와 환율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자.

금융위기 대비 혹은 분산투자의 목적으로 달러, 금, 해외투자는 적당한 비율로 필요할 수 있다.
그런데 일단 헤지를 하려고 하면 그 비용은 과거보다 높아질 것이다.
미국, 일본, 유럽의 안전자산 등속에 투자해서 환헤지 프리미엄을 먹는 방식의 투자는 아예 사라질 수 있다.

그러면 결국 환율 자체의 방향이 해외 투자성과에 가장 중요한 시절이 오게 될 것이다.
사실 벌써 온 것 같기도 하다.



원화의 미래는?

환율1 - 경상수지, 외환보유액, 물가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1.html
환율2 - 파운드와 외환보유액 평가액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2_20.html
환율3 - 금리차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3.html


경상수지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본금융계정을 통한 유출이 외환보유액의 증가를 막고 있었다.
외환보유액이 증가하면서 지난 2년간 두드러졌던 환율과 물가, 환율과 금리차, 환율과 국제수지오차의 괴리는 줄어들고 있다.
환율이 빠르게 1000원에서 1050원에 도달하면 괴리는 거의 사라진다.

그렇게 정상화 된 이후에는 또 다시 물가가 장기간에 걸쳐서 환율을 결정할 것이다.
또 외환보유액의 변화가 환율의 단기 변동과 밀접하게 동행하게 될 것이다.
한국에서 이 관계가 달라질 가능성은 당분간 전혀 없다.

단기적으로 물가는 한국보다 미국이 빨리 올라 갈 것으로 본다.
단기적으로 한국 경상수지가 급감할 이유를 찾기 어렵다.



요약
원화가 몇년 내에 달러당 900원대로 내려가서 오래 유지되어도 이상할 이유가 없다.
엔, 위안의 강세와 반드시 동반할 이유도 없다.
4년째 같은 소리라서 지겹기는 하지만 원화 초강세 전망을 바꿀 이유가 전혀 없다.







댓글 3개:

  1. 며칠전에 1100원 밑으로 내려가자 기사 밑에 엄청나게 많은 댓글이 달리더군요

    " 이러다가 수출이 안되서 나라 망한다. " 라는 류..

    환율이 오르면 나라가 망한다고 믿는 사람들이 많아서 4년동안 같은 소리 해도 안떨어지나봐요.

    답글삭제
    답글
    1. 외환당국에서도 시장에서도 그런 컨센서스가 있다면 쉽게 깨지기 어렵겠지요.
      14년에 1000원 근처에 갔을 때 그것으로 네자리는 끝인가 했는데 아직도 멀었네요.
      사실 미국 금리도 팍팍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했었으니 지금 돌아보면 아주 많이 성급했었네요.

      삭제
    2. 그러니까요..

      94년과 점점 흡사해지고 있는거 같아요.. 미국은 금리를 조금 올렸으나... 전세계가 별로 안좋아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 계속된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