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9월 6일 일요일

malaysia, 1mdb - 결국 터질 듯



`골드만삭스 불법판매` 논란 있었던 말레이시아채권 투자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hm&sid1=101&sid2=258&oid=009&aid=0003565300

"사학연금 교직원공제회 교보생명 KB손해보험을 비롯한 국내 10여 개 금융회사들은 2013년 4월부터 6월까지 총 5억4000만달러(약 6400억원) 규모 1MDB 채권을 매수했다. 한 채권시장 관계자는 "시가 평가 시스템상으로는 원금 대비 채권 가격이 20% 정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지만 그 가격에 팔려고 해도 살 사람이 없어 거래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표면적으로는 1300억원가량 손실을 입었지만 이 채권은 실질적으로 원금 회수가 불확실한 정크본드(쓰레기 채권)란 의미다."

최근 한국의 금융권과 관련해서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는 것들은 그냥 넘어가는 법이 없다.
2년 전의 문제였고, kic 등은 손실을 보지 않고 조기에 회수했다는 기사들이 있었기 때문에 다른 금융사들도 당연히 위험관리를 위해 정리했을 것으로 여겼으나, 전혀 아닌 모양이다.

사고를 치고, 실수를 하는 것은 사람이 하는 것이니 당연하지만, 그것을 반복하는 것은 사람이라고 다 그런 것은 아니다. 더구나 남의 돈을 관리하는 자들이 하나같이 저런 수준이라는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global 호구 list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9/global-list.html

동부화재 2200억원
LIG손보 1000억원
메리츠화재 550억원
현대해상 330억원
교보생명 500억원
KIC가 지난 4월 800억원
하나생명
KDB 생명
교원공제회 5000만달러
사학연금 5000만달러
증권사 중에서는 유일하게 KDB대우증권 5000만달러

goldman and 1mdb

말레이시아 금융불안


채권 잔액은 알 수 없다.
중요한 것은 지금 말레이시아는 아시아 국가 중에서 가장 금융위기의 가능성이 높은 나라 중 하나라는 것이고, 상황이 악화되면 오랫동안 돈이 묶이거나 휴지가 될 수 있다.


스위스 검찰, 말레이시아 총리 계좌 수사 돌입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asiapacific/705817.html
"나집 라작 말레이시아 총리의 개인 계좌에 말레이시아 국영 기업인 1말레이시아개발회사(1MDB)의 돈 7억달러가 흘러 들어간 의혹에 대해 스위스 정부가 수사를 시작했다고 <월스트리트 저널> 등이 23일 보도했다. 58년째 집권하고 있는 만년 여당 통합말레이국민기구(UMNO)를 흔들고 있는 1MDB 스캔들이 국제 문제로까지 떠오르고 있다."


말레이시아, 달러페그제·자본통제 도입 배제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8/20/0200000000AKR20150820109200009.HTML?input=1195m



부정부패 스캔들로 시달리는 총리가 하는 얘기라 안심할 수 없다.
그러면 과거 데이타를 돌아 볼 수밖에 없다.





만약 정치적 불안이 지속되고, 외채가 끝없이 증가하고, 달러 유동성이 감소하면 달러 페그를 하고 외환보유고를 지키기 위해 자본 통제를 했던 전철을 밟을 수 있다.
필연적인지는 모르겠다.
다만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신뢰할 만한 이유가 전혀 없다는 점에서 브라질, 러시아만큼 위험하다고 볼 수 있다.





russia, brazil - 거기서 거기?



http://www.tradingeconomics.com/russia/indicators

내가 러시아에 대해서 아는 것을 다 적어봐야 10줄을 넘기기 힘들 것이다.
그런데 정치적으로 아래의 브라질보다 안정되어 있다는 것은 알 수 있다.

원자재에 의존한 경제가 가진 한계가 명확하다고 해도, 비상시에는 비상수단을 써야하고 그것을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장기적으로 차이를 낳을 수도 있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9/brazil.html







brazil - 도루묵



브라질 중앙은행, 보유외환 풀어 헤알화 방어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9/06/0200000000AKR20150906018300094.HTML?input=1195m

"외환 전문가들은 헤알화 약세가 중국 증시 폭락 등 외부 요인보다는 국내 정치·경제적 위기에 더 큰 이유가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브라질에서 외환을 풀어 헤알화를 방어할 수 있을까?
결론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본다.

브라질 채권, 전문가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4/blog-post_5.html



위는 15년 9월 현재.
아래는 14년 6월.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6/brazil-inflation-risk.html

인플레이션이 가속되고 있다.
전세계의 디플레이션이 문제가 된 상황에서 브라질의 인플레이션이 왜 발생하나?
헤알이 싸구려가 되고 있고, 많은 상품을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그렇다.

그런데 1년전과 비교해 반토막에 불과한 헤알에 비교해서, 10%에 못 미치는 인플레이션을 믿을 수 있나?
난 못 믿는다.
인플레이션이 수십%에 달하는 나라들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인플레이션 수치를 믿을 수 없다. 인플레이션을 믿을 수 없으니 실질 GDP도 믿을 수가 없다. 그들이 일부러 조작을 하지 않아도 그렇다는 것이다.
가속화되는 인플레이션을 보면 현재의 금리 15%가 적정한지 판단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브라질의 정치적 상황이 금리인상을 막고 외환보유고를 퍼내는 선택을 강요한 것이라면 브리질은 끝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9/brazil-out.html

사실 이미 오래전에 끝났다.

외환보유고는 외국인 투자와 기름을 판 돈을 쌓은 것이다.
석유값이 100불로 언제 돌아가겠나?
최대기업 페트로브라질이 정치적으로 부정부패, 분식회계의 온상이고, 대통령도 직접 관연되었다는데 브라질에 투자하고 싶은 외국인이 과거만큼 있을까?

어느 정도 수준에서 진정이 될지 알 수 없다.
다만 인플레이션과 금리가 2002년 정도까지 되돌아 가는 것을 봐도 놀라지는 않을 것이다.